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4 | 5 |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 정보처리산업기사
- node.js 학습
- 개발자공부
- node.js프로젝트
- vue.js학습
- 자바스크립트
- js학습
- 프로토콜
- 자바스크립트학습
- MongoDB
- 자바스크립트기본
- Vue.js
- node.js학습
- nodejs
- react
- 개발자지식
- 프론트엔드 공부
- js ajax
- 자바스크립트 학습
- node.js
- 프론트엔드
- 개발자학습
- 리액트
- 개발공부
- JS
- 네트워크
- JavaScript
- 프론트엔드학습
- 프론트엔드공부
- API
- Today
- Total
목록node.js학습 (5)
dada's

MogoDB에 데이터를 저장하고 보면 '_id'라는 값이 추가되어 저장된다 이 값을 설정하지 않고 저장하면 MongoDB에서 알아서 만들어서 강제로 부여해준다 데이터를 구분하고 관리하기 위해서는 데이터만의 고유한 값을 가지고 있어야 관리하기 편하기때문이다 이 아이디를 활용해서 데이터를 가져다 쓰기 쉽게 하기 위해 게시물마다 1,2,3....이런식으로 순서대로 번호를 부여해보자 [게시물마다 아이디 부여하는 방법] 1. MongoDB사이트에 접속하고 대시보드에서 collection을 하나 더 만든다 프로젝트 진행중인 todoapp저 부분에 마우스 가져다 대면 +버튼 나오니 그걸로 counter라는 collection을 하나 더 생성했다 그리고 insert document버튼을 클릭해서 데이터를 하나 만들어주..
실제 서버를 만들어 배포하고 하기 위해 데이터를 저장 할 수 있는 데이터베이스를 사용해야한다 데이터베이스는 SQL이라는 언어를 써서 데이터를 입출력 할 수 있는데, SQL을 배우기에는 시간이 걸려 좀 더 쉽게 쓸 수 있는 MongoDB를 사용한다 MongoDB Atlas 가입 후 호스팅받기 https://www.mongodb.com/cloud/atlas/register?utm_content=rlsapostreg&utm_source=google&utm_campaign=gs_apac_rlsamulti_search_brand_dsa_atlas_desktop_rlsa_postreg&utm_term=&utm_medium=cpc_paid_search&utm_ad=&utm_ad_campaign_id=144126464..

일단 post요청을 하기 전에 '/write'라는 url로 들어왔을시 Todo List작성을 할 수 있는 페이지를 하나 만들었다 나는 Bootstrap을 이용해서 만들어줬다 이런식으로 간단한 ui를 만들어 놓고 post요청을 해보자 1. html의 form 태그 셋팅 Todo List SAVE 폼 전송버튼 클릭시 /add라는 경로로 POST요청을 하는 폼이다 form태그 안에 method속성은 이 폼을 GET/POST 중 어떤 요청을 할건지 정하는 부분이다 그리고 action은 어떤 경로로 요청할건지를 정하는 부분이다 마지막으로 input태그마다 name속성을 적용하여 서버에 이게 어떤 input의 데이터인지 알 수 있도록 한다 2. form데이터를 서버로 전송전 라이브러리 설치 일단 데이터들 처리를 쉽..
node.js로 프로젝트를 시작하기에 앞서 express라이브러리를 설치 해 보자. 참고로 에디터는 vs code를 사용하였다. 1. 작업파일을 열어 일단 어떤 라이브러리를 설치했는지 기록하기 위해 package.json을 만들어 준다. [package.json 만드는 방법] 1. 작업폴더에서 터미널을 열고 npm init 입력 2. 엔터키를 치다보면 entry point: ? 라는 부분에서 원하는 파일명을 입력 한 후 끝날때까지 엔터 3. 그러고 나면 package.json 외에 등등이 저절로 생성된다. 2. package.json 생성 후 터미널에서 npm install express를 입력한다. 💡용어 정리💡 • npm : 노드 패키지 매니저라는 건데 라이브러리를 쉽게 설치 할 수 있게 도와주는 도..
Node.js node.js를 이해하기 위해서는 자바스크립트가 무엇인지 알아야 한다. 자바스크립트는 html의 조작과 변경, 동적인 사이트를 만들기 위해서 만들어진 언어이다. 여기서 자바스크립트를 동작(해석)하는 것은 브라우저(크롬, 익스, 파이어폭스 등..)의 해석엔진이 한다. 그리고 브라우저 마다 쓰는 엔진이 다르다. 크롬은 V8이라는 해석엔진을 쓰는데 이 엔진을 따로 떼어낸 후 기능을 좀 더 추가해 출시하게 되는데 이것이 Node.js이다. node.js를 만든 이유는 자바스크립트를 브라우저 말고도 다른 환경에서도 자바스크립트를 실행 할 수 있게 도와주기 위함이다. 따라서 node.js는 자바스크립트의 실행창, 실행 환경(런타임)이다. 그래서 node.js가 있다면 브라우저를 키지 않아도 프롬포트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