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 프론트엔드공부
- node.js프로젝트
- 프론트엔드학습
- JavaScript
- 자바스크립트 학습
- JS
- node.js 학습
- 자바스크립트학습
- 개발자지식
- vue.js학습
- js학습
- 자바스크립트
- node.js
- 자바스크립트기본
- nodejs
- MongoDB
- 개발공부
- js ajax
- react
- 개발자학습
- 개발자공부
- 프로토콜
- API
- 네트워크
- 프론트엔드
- 프론트엔드 공부
- node.js학습
- 정보처리산업기사
- 리액트
- Vue.js
- Today
- Total
목록nodejs (4)
dada's
일단 만들어놨던 list.ejs 파일안에 삭제 버튼을 하나 만들어준다 html파일에서는 get요청과 post 요청만 할 수 있다 (삭제요청, 수정요청 없음) 📍삭제 요청을 하기 위해서는 3개의 방법이 있다📍 1. method-override라는 라이브러리의 도움을 받는다 2. ajax로 삭제요청을 한다 3. post요청으로 삭제작업을 수행한다 근데 여기서 rest한 api를 만들기 위해서 1번이나 2번을 쓰는데 나는 2번 방법으로 진행했다 [ ajax로 삭제 요청하기 ] 1. jquery설치 자바스크립트로도 ajax요청을 할 수 있지만, 좀 더 편하게 요청하기 위해 설치해주자 해당 html 파일에 jquery를 CDN방식으로 설치해준다 그리고 코드는 이 하단에 작성해야한다 2. ajax 기본 문법 이거는..
HTML에 실제 데이터를 넣어서 보내주기 위해서는 EJS, Pug같은 템플릿 엔진을 사용한다 EJS는 서버 데이터를 HTML에 쉽게 넣을 수 있게 도와주는 HTML 렌더링 엔진이다 이것을 사용하여 DB의 데이터를 HTML에 넣어보자 1. EJS설치 터미널에 npm install ejs를 하고 server.js 상단에 이 코드를 넣어준다 app.set('view engine', 'ejs'); 2. EJS파일 만들기 EJS는 HTML과 똑같이 만들어 쓰면 된다 주의할점 : 작업폴더 내에 views라는 이름의 폴더를 하나 만들고 거기에 ejs파일을 만들어야함 나는 list.ejs라는 파일을 하나 생성했다 3. MogoDB에서 데이터 꺼내기 db.collection('post').find() db.collect..
Node.js node.js를 이해하기 위해서는 자바스크립트가 무엇인지 알아야 한다. 자바스크립트는 html의 조작과 변경, 동적인 사이트를 만들기 위해서 만들어진 언어이다. 여기서 자바스크립트를 동작(해석)하는 것은 브라우저(크롬, 익스, 파이어폭스 등..)의 해석엔진이 한다. 그리고 브라우저 마다 쓰는 엔진이 다르다. 크롬은 V8이라는 해석엔진을 쓰는데 이 엔진을 따로 떼어낸 후 기능을 좀 더 추가해 출시하게 되는데 이것이 Node.js이다. node.js를 만든 이유는 자바스크립트를 브라우저 말고도 다른 환경에서도 자바스크립트를 실행 할 수 있게 도와주기 위함이다. 따라서 node.js는 자바스크립트의 실행창, 실행 환경(런타임)이다. 그래서 node.js가 있다면 브라우저를 키지 않아도 프롬포트나..
server node.js 학습에 앞서, 기본적인 개념이 정리가 되어야 한다. 그 중 첫번째가 server(서버)다. server를 검색하면 다양한 설명이 나오지만, 구조를 가장 이해하기 쉽게 정리하자면 server란 결국 '서빙하는 사람'과 같은 것이다. 예를 들어 음식점에서 손님이 메뉴를 주문하면 서빙하는 사람이 음식을 가져다 주는것처럼 사용자가 요청한걸 가져다 주는것이 server이다. 💡서버(server) : 요청을 받으면 요청한 내용을 보내주는 프로그램 [요청의 4개의 방식] 1. 읽기요청(GET) : 일반적으로 웹 페이지를 보여주라는 요청 (예 : 네이버 접속시 네이버 페이지를 보여주는것) 2. 쓰기요청(POST) : 댓글이나 블로그 포스팅과 같이 새롭게 무언가를 작성한 것을 올려달라는 요청 ..